중소기업 사업다각화시 주의사항 #사업다각화 #신규사업 #K-브랜딩
중소기업 사업다각화시 주의사항
선후배님들 중에 요즘은 개인사업, 창업을 하는 분들이 자꾸 늘어난다.
아마도 내 나이가 오십을 넘어가니, 어찌보면 당연한 것일 게다.
사업을 꾸려나가는 분들 보면서 대기업 직장생활이 얼마나 안정적이고 평온한 것인 줄 새삼느낀다. 안정적이라는 것은 매월 21일이면 무슨 일이 일어나도 내 통장에는 월급이 찍히고, 평온하다는 것은 회사가 내년, 후년에도 망하지 않을 거란 확신이 있기 때문이다.

며칠 전 작은 기업체를 운영하는 대학선배의 사무실을 찾았다.
우여곡절 끝에 초기의 비즈니스 모델을 일부 수정하여, 이제는 매출 수십억의 규모를 달성하고, 올해 목표는 작년의 거의 두배를 한다고 하는 소식에 축하를 드렸다.
차를 한잔 하면서 말씀을 나누다 보니
- 기존 브랜드와 별개로 K-브랜드를 별도로 론칭을 하여, 해외 수출을 추진
- 현재 제품과 연계된 세차사업 프랜차이즈를 추가하고,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모바일 앱을 통해 고객 서비스를 추진하는 등
크게 두가지로 현재 영위하는 사업을 확장하려는 시도를 하신다고 말씀하신다.
27년간의 직장생활. 다년간의 해외 주재경험과 많은 국내외 파트너사들과의 교류. 경영대학원에서의 여러 수업들. 그리고 스타트업 등의 평가위원 등을 하면서 익힌 지식을 동원하여 조언아닌 조언을 드렸다.

1) 올해 경영목표인 현재 비즈니스를 작년대비 두배 이상 성장시키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올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임
2) 또한, 기존 제품판매 외에 K-브랜드를 론칭하는 것은 사업다각화 중 핵심역량 기반한 시장확장이며, 직원들이 이 부분에 대해 노하우를 갖고 있기에 추진하는 데 큰 이슈는 없음
단, 1)과 2)에 집중하는 것이 올해, 내년까지 해야할 최우선 과제일 것으로 보이며, 세차사업과 연계한 프랜차이즈 사업 확장은 무리수가 있어 보임.

특히, 세차사업 프랜차이즈에 대해 조언을 드리기 위해서 몇가지 질문을 드려 보았다.
우선, 선배님께서 사업 확장을 하고자 원하는 범위가 어디까지인가? 본인이 사업을 어느정도 까지 확대하고 싶어하는 욕심이 있으신가? 수년내에 몇백억대의 사업을 일구어 뭔가 이 남은 생애에서 대단한 성공을 하고 싶으신가 하는 질문을 드린다. 사업도 사업이지만, 우리는 스스로를 들여다 봐야 한다.
둘째, 모바일 앱을 개발해야 하는데 과연 개발자는 있는가? 핵심 개발자를 보유하고 있지 않고 그저 요구사항을 갖고 외주개발을 통해 앱을 론칭하고 고객 서비스를 하려고 하는 생각은 매우 위험한 발상이다. 밑빠진 독에 물붓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말씀드렸다.
셋째, 프랜차이즈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서도 많은 자원이 소요될 수 있고, 또한 현재 보유하고 있는 직원들의 역량 셋과 맷칭이 되지 않으니, 고려할 포인트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 하고 있는 제품 판매, 그리고 이를 독자 브랜드화하여 K-브랜드로 론칭하여 해외수출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며, 이외의 다각화는 2024년 이후에나 추진해 보시는 것으로 제안을 드렸다.
올 한해 새로운 브랜드를 론칭하고, K-한류 열풍에 힘입어 K-브랜딩을 통해 새로운 판로를 개척할 수 있기를 응원드린다. 화이팅!!!
중소기업의 예[편집]
특히 자금력과 인력이 제한되어 있는 중소기업은 제한된 리소스를 한곳에 집중시키는 방식으로 성공한 사례가 많다.
대한민국의 코스닥 시장에서는 인바디(舊바이오스페이스)가 20년 가까이 체성분 분석기 하나에만 집중하여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세계 시장점유율 51%를 달성했고, 지엠피는 30년 가까이 라미네이팅 기술 하나에만 집중하여 세계시장 점유율 30%로 1위를 고수하고 있다.[10] 프로텍은 LED 디스펜서(LED에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기기)에 집중하여 대한민국 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11]
이러한 강소기업의 성공은, 핵심 역량을 다른 분야에 분산시키지 않고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한 결과라고 분석할 수 있다.
전문화 vs. 다각화 초경쟁시대, 오너는 선택해야 한다
기업의 사업다각화 요인과 유형별 특성https://repository.kisti.re.kr › bitstream › 2014-17...
by 최윤정 · 2014 — 기업의 핵심역량과 경영자원을 활용하는 다각화 전략 - 포트. 폴리오 관리, 리스트럭처링, 타 사업 분야 진출, 차별화우위. 창출. Scherer&. Ross. (1990). 다각화란 ...
73 pages